2018년 8월 3일 금요일

Exif 정보를 활용하여 사진을 정리 

공개 소프트웨어로 http://www.sno.phy.queensu.ca/~phil/exiftool/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자세한 설명도 되어 있다. 워낙 기능이 많은 프로그램이라 사용법이 쉽게 보이지 않는다. 다만, 한 가지 예를 통해 이 프로그램의 능력을 살짝 엿보도록 한다.

exiftool -q "-FileName<DateTimeOriginal" -r -d "%Y_%m_%d/%Y_%m_%d_%H%M%S%%-c.%%e" "원본디렉토리"

위 명령은 OS X (맥) 에서 사용한 것이지만, Windows 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게 사용될 수 있다.  위 명령의 동작은 "원본디렉토리"에 있는 이미지 파일 전체에 대해서 이미지 파일 이름을 사진이 촬영된 "연_월_일_시분초-일련번호.이미지의확장자" 로 변경(만약 연사 기능으로 1초에 여러 장이 이미지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일련번호가 매겨진다)하고 "연월일" 폴더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서 원본디렉토리에 있던 각 카메라가 붙여 놓았던 다양한 형태의 이름을 가지는 파일들이 위에서 저장한 파일 이름 형식으로 바뀌면서 각자 촬영된 날짜 디렉토리가 만들어지고 해당 디렉토리로 분산 보관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여러 사람이, 여러 날에, 다양한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을 날짜 기준으로 폴더에 저장 가능하게 된다. 최소한 날짜 별로라도 저장을 해 놓으면 나중에 정리하는데 상당히 큰 도움이 된다.

이미지 파일 속 정보 - 불필요한 민감/개인 정보의 노출 문제

앞서 설명한 사진 속의 정보들은 개인적인 목적으로 상당히 유용하지만, 자칫 나의 정보를 남에게 의도치 않게 알려줄 수 있다.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많이 찍는데, 이 스마트 폰은 해당 사진이 찍힌 GPS 위치까지 포함시키기 때문에 블로그나 카페, SNS 등에 사진을 올림으로서 본의 아니게 자신의 집 위치나 특정 날짜에 방문한 장소 등의 정보를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이 정보는 스토커 같은 사람에게 노출되면 끔찍한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EXIF 정보를 애써 지우는 프로그램까지 나오게 된다. 즉, 사진을 올리긴 하지만, 자세한 정보는 지우고 올리겠다는 의미로서 해당 프로그램은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Free EXIF Eraser http://www.exiferaser.com/

위는 공식 웹사이트인데, 접속이 잘 안된다. 아래는 네이버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주소이다. 


해당 프로그램으로 이미지 파일들의 Exif 정보만 깔끔하게 지울 수 있다 (이미지 자체는 변경됨이 없다). SNS 에 사진을 올릴 때 검토해 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