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소프트웨어로 http://www.sno.phy.queensu.ca/~phil/exiftool/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자세한 설명도 되어 있다. 워낙 기능이 많은 프로그램이라 사용법이 쉽게 보이지 않는다. 다만, 한 가지 예를 통해 이 프로그램의 능력을 살짝 엿보도록 한다.
exiftool -q "-FileName<DateTimeOriginal" -r -d "%Y_%m_%d/%Y_%m_%d_%H%M%S%%-c.%%e" "원본디렉토리"
위 명령은 OS X (맥) 에서 사용한 것이지만, Windows 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게 사용될 수 있다. 위 명령의 동작은 "원본디렉토리"에 있는 이미지 파일 전체에 대해서 이미지 파일 이름을 사진이 촬영된 "연_월_일_시분초-일련번호.이미지의확장자" 로 변경(만약 연사 기능으로 1초에 여러 장이 이미지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일련번호가 매겨진다)하고 "연월일" 폴더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서 원본디렉토리에 있던 각 카메라가 붙여 놓았던 다양한 형태의 이름을 가지는 파일들이 위에서 저장한 파일 이름 형식으로 바뀌면서 각자 촬영된 날짜 디렉토리가 만들어지고 해당 디렉토리로 분산 보관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여러 사람이, 여러 날에, 다양한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을 날짜 기준으로 폴더에 저장 가능하게 된다. 최소한 날짜 별로라도 저장을 해 놓으면 나중에 정리하는데 상당히 큰 도움이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